
2022년이 두 달도 안 남은 시점에서 2023년을 준비하는 마음으로 2023년의 최저임금과 최저임금으로 계산한 월급 등 임금에 대한 내용을 알려드리겠습니다. 확정된 2023년 최저임금 2023년의 최저임금은 9,620원입니다. 2022년 최저임금과 비교해서 5% 인상된 금액입니다. 2022년과 비교한 2023년 최저임금 연도 시급 일급 (일 8시간 기준) 월급 (주 40시간/월209시간 기준) 전년대비 인상율 2022년 9,160원 73,280원 1,914,440원 5.05% 2023년 9,620원 76,960원 2,010,580원 5.0% 2023년의 최저임금은 2022년과 비교해서 5% 정도 인상된 금액으로 시급으로는 460원, 일급(일 8시간)으로는 3,680원, 월급(주 40시간/월 209시간 ..

이전 글 중에서 5인 미만 근로기준법 내용을 다루면서 해고예고에 대한 언급이 있었습니다. 근로자를 해고할 때에는 30일 전에 해고예고를 해주어야 한다는 내용이었는데, 이 해고예고의 적용이 되지 않는 예외에 대한 내용을 알려드리려 합니다. 근로기준법 제26조의 내용 근로기준법 제26조에 따르면 다음의 3가지 경우에는 해고의 예고 규정을 따르지 않는다고 합니다. 1. 계속 근로한 기간이 3개월 미만인 경우 근로자가 계속 근로 기간이 3개월 미만으로 수습기간 중일 경우, 일용근로자로서 3개월 계속 근무를 하지 않은 경우, 2개월 이내의 기간을 정하여 고용된 근로자, 계절적 업무에 6개월 기간을 정하여 고용된 근로자 등은 해고의 예고 규정이 적용되지 않아 해고예고수당을 청구할 수 없습니다. 2. 천재·사변 그 ..

앞선 글에서 중소기업 취업자 소득세 감면 제도에 대해서 설명해드렸습니다. 소득세 감면 신청에 대한 결과는 별도로 통보되지 않기 때문에 정상적으로 신청되었는지 개별적으로 확인을 할 필요가 있습니다. 확인할 수 있는 방법 알려드리겠습니다. 관할 세무서에 확인하기 원천징수 의무자 또는 감면대상 근로자 본인이 소득세 감면 명세서가 제대로 제출되었는지 직접 관할 세무서에 방문하거나 전화로 문의하면 확인이 가능합니다. 관할 세무서 조회하러 가기 홈택스에서 확인하기 감면대상 근로자 본인이 홈택스 사이트에 접속하여 확인할 수 있습니다. 홈택스 바로가기 홈택스 로그인(근로자) ▷ 조회/발급 ▷기타 조회 ▷ 중소기업 취업자 감면 명세서 조회 ▷ 보고서 손 택스에서 확인하기 감면대상 근로자 본인이 손 택스 모바일 앱에 접속..

아직 연말정산 시기는 아니지만 미리 알아두면 좋을 중소기업 취업자 소득세 감면제도에 대해서 안내해드리겠습니다. 청년과 60세 이상의 고령자, 장애인, 경력단절 여성이라면 알아두면 연말 정산할 때 놓치지 않고 챙길 수 있을 것입니다. 중소기업 소득세 감면 자격 조건은 어떻게 될까? 요건과 감면기간 청년과 60세 이상의 고령자, 장애인, 경력단절 여성이 다음과 같은 요건을 충족하는 중소기업에 취업하는 경우 취업일로부터 3년(청년은 5년)이 되는 날이 속하는 달의 말일까지 발생한 소득에 대한 소득세의 일정률을 감면받을 수 있습니다. 2012년 1월 1일을 기준으로 이전부터 기업에 계속 근무 중인 경우에는 적용받을 수 없고 이후에 중소기업에 취업(재취업 포함) 한 경우부터 적용합니다. 구 분 요 건 감면기간 청..

월급을 받는 근로자라면 주휴수당에 대한 걱정은 안 해도 되지만, 시간제 근무자라면 주휴수당을 꼼꼼히 알아야 될 필요가 있습니다. 어떤 경우에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주휴수당이 무엇일까? 주휴수당이란 근로자가 1주에 근로하기로 정한 근무일수(소정근로일)를 개근한 경우 1주 1회 이상의 유급휴일을 사업주가 제공해야 하는 제도를 말합니다. 근로자가에게 지급해야 하는 유급휴일로 쉬는 날에도 임금을 지급해야 한다는 뜻입니다. 주휴일에 1일 치 임금을 별도로 산정해서 지급하는 것입니다. 월급제 근로자는 월급에 주휴수당이 포함되어 있고 시간제 근로자라면 1주일에 15시간 이상 근무의 여부에 따라 결정됩니다. 주휴수당의 3가지 지급조건 1주 15시간 이상 근무할 것 주휴수당은 1주에 15시간 이상 ..

5인 미만 사업장의 근로기준법 규제는 까다롭습니다. 5인 미만 사업장의 사업주라면 고용에 있어서 신경 쓸게 많이 있습니다. 아래 포스팅에서 어떤 조항은 적용이 되고 어떤 조항은 적용이 되지 않는지 꼼꼼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참고하셔서 사업장 운영에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5인 미만 사업장에 적용되는 근로기준법은 어떤 게 있을까? 상시근로자 수가 5인 이상인지 미만인지에 따라 적용되는 근로기준법 규정이 달라지기 때문에 기업과 근로자 모두에게 중요한 사안입니다. 5인 미만 사업장이지만 적용되는 근로기준법 중 주요한 규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근로기준법 제15조, 16조] 근로계약서 작성 및 교부 [근로기준법 제26조] 30일 전 해고예고 [근로기준법 제54조] 휴게시간 [근로기준법 제55조] 유급휴일 ..

소득자라면 급여를 받을 때 일부의 세금을 공제한 후의 금액으로 받게 됩니다. 이를 세후 실 수령금이라고 합니다. 국민연금, 건강보험, 장기요양보험, 고용보험과 함께 공제되는 소득세와 지방소득세가 공제되는 것을 원천징수 대상 세금입니다. 이러한 원천징수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원천징수의 무엇을 뜻하고, 언제 하는 걸까? 원천징수의 뜻 원천징수는 소득자가 자신의 소득에 대한 세금을 직접 납부하지 않고, 원천징수 대상 소득을 지급하는 원천징수 의무자(국가, 법인, 개인사업자, 비사업자 포함)가 소득자로부터 미리 세금을 징수하여 국가(국세청)에 납부하는 제도를 말합니다. 원천징수 대상이 되는 소득으로는 근로소득, 퇴직소득, 사업소득 외에 연금소득, 이자소득, 배당소득, 기타 소득이 모두 포함됩니다. 원..

2022년도 두 달 남짓 남았습니다. 국가 건강검진을 아직 하지 않았다면 대상자인지 먼저 확인하시고, 12월 31일까지 검진을 받으시기를 바랍니다. 어떤 분들이 올해 국가검진 검진 대상자인지 알려드리겠습니다. 건강검진 대상자 분류 매년 실시되는 건강검진은 1월 1일부터 12월 31까지 1년 동안 원하는 시간에 예약해서 검진을 받을 수 있습니다. 2022년도는 짝수연도 출생자가 대상자가 됩니다. 건강검진을 받는 대상자는 크게 직장가입자, 지역 세대주, 만 20세 이상 세대원 및 피부양자 또는 만 19세~64세 의료급여 수급자로 나눌 수 있습니다. 구 분 대 상 검사주기 지역가입 만 20세이상 세대주 및 세대원 해당 출생연도 출생자 2년/1회 피부양자 만 20세이상 피부양자 해당 출생연도 출생자 의료급여 수..